유튜브 운영 노하우, 13년 동안 배운 것

구독자 160만명의 Colin and Samir의 인사이트
CTEE크티's avatar
Aug 19, 2025
유튜브 운영 노하우, 13년 동안 배운 것

유튜브 채널, 13년 노하우로 시작하는 7단계 전략

유튜브는 이제 단순히 ‘고양이 영상’이나 ‘브이로그’만 올리는 플랫폼이 아닙니다. 2024년 기준, 미국에서 연결된 TV 시청 시간의 10%가 유튜브에 사용되며, 이는 넷플릭스보다도 높은 수치(8.4%)입니다. 즉, 유튜브는 더 이상 스마트폰 속 짧은 오락이 아니라, 거실 TV에서 가족과 함께 시청하는 ‘프라임타임 콘텐츠’로 진화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유튜브 채널을 시작한다는 것은 단순한 취미 활동이 아니라 진지한 비즈니스의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당장 유튜브를 시작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3년간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수백 명의 톱 크리에이터를 인터뷰해온 Colin & Samir가 제시한 7단계 유튜브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슈퍼마리오 효과: 실패를 게임처럼 대하라

Colin & Samir가 첫 번째로 강조하는 개념은 마크 로버(Mark Rober)와의 인터뷰에서 나온 ‘슈퍼마리오 효과’입니다.

게임에서 마리오가 구덩이에 빠졌다고 해서 “난 이제 끝났어”라고 말하지 않죠. 대신 “다음에는 조금 더 빨리 점프해야겠다”라며 다시 도전합니다. 유튜브도 마찬가지입니다. 첫 영상이 망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오히려 데이터를 얻고, 배운 것을 다음 영상에 적용하면 됩니다.

실제로 Colin & Samir도 13년 전 맥북 웹캠 하나로 촬영을 시작했습니다. 화질도 좋지 않았고, 편집도 서툴렀지만, 그 시도가 있었기에 지금의 채널을 만들 수 있었죠.

👉 크리에이터에게 필요한 질문:

  • 나는 실패했을 때 다시 시도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 최소 3~5년을 투자해도 괜찮은가?


2. 성공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하기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구독자 10만 명”, “수익 창출” 같은 목표만 떠올립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내 삶과 연결된 목표여야 합니다.

Samir는 “내가 유튜브를 새로 시작한다면, 내 삶에서 원하는 경험과 채널의 방향을 연결시킬 것”이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더 자주 밖으로 나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싶다”는 개인적 목표를 유튜브 채널과 연결했죠.

👉 실천 팁:

  • 이상적인 하루·일주일·1년을 글로 써보세요.

  • 그 삶을 유튜브가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적어보세요.

이 과정을 거치면 “돈을 벌기 위해”라는 모호한 동기가 아니라, 삶을 확장하는 도구로서 유튜브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3. 철저한 니치 분석

세 번째 단계는 시장조사입니다. 새로운 유튜브 채널을 만들기 전에, 같은 주제의 다른 채널을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

Colin & Samir는 유명 크리에이터 MatPat & Stephanie의 사례를 소개했는데요. 그들은 새로운 채널을 시작할 때 “해당 카테고리의 모든 영상을 분석한다”고 합니다.

  • 어떤 말투로 시청자와 소통하는지

  • 영상 길이와 업로드 주기

  • 썸네일 색감과 제목 스타일

  • 오프닝 멘트나 음악 사용 여부

이렇게 세세한 부분까지 분석한 후, “우리가 채울 수 있는 빈 공간은 어디인가?”를 찾습니다.

예를 들어, Colin은 ‘주말 여행’을 테마로 한 채널을 구상했지만, 리서치 결과 그 시장은 너무 작고 시청자층도 얇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대신 Ryan Trahan의 에어비앤비 영상을 보며, “특별한 숙소와 체험을 연결한 콘텐츠”라는 더 큰 시장을 발견할 수 있었죠.

👉 핵심: 관심사와 시장의 교차점을 찾아야 합니다.


4. 나만의 차별화된 가치 제안

니치를 파악했다면 이제 ‘나만의 포지션’을 정의해야 합니다. 단순히 남들이 하는 걸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다른 관점을 제시해야 합니다.

Colin & Samir는 여기서 핀터레스트 보드 방식을 추천합니다.

  • 구글 슬라이드에 경쟁 채널 썸네일을 모아 분석

  • 댓글 캡처를 모아 시청자들의 불만/칭찬 파악

  • 영상 오프닝 30초를 비교해 공통점과 차이점 찾기

이 과정을 통해 “내가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가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리 채널’을 만들고 싶다면 ‘대학생 요리 초보에게 자신감을 주는 콘텐츠’ 같은 포지션을 정할 수 있겠죠.


5. 100개의 아이디어 쌓기

유튜브 채널의 생명은 아이디어입니다. 아이디어가 고갈되면 업로드도 멈추게 되죠. 그래서 Ryan Trahan은 매일 10개의 제목 아이디어를 씁니다.

Colin도 같은 방식으로 10일 동안 매일 10개씩 아이디어를 써서, 결국 100개의 아이디어 뱅크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 팁:

  • 노션, 구글시트, 심지어 종이 노트라도 좋습니다.

  • “$100 vs $1,000”처럼 반복 가능한 포맷을 리스트화하세요.

  • AI 도구를 활용해도 좋지만, 직접 아이디어를 쓰는 과정이 창의성을 더 키워줍니다.


6. 아이디어를 작은 무대에서 테스트하기

100개의 아이디어 중 어떤 게 먹힐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정답은 테스트입니다.

Colin & Samir는 긴 영상을 찍기 전, 링크드인에 짧은 글을 올려 반응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 아이디어가 큰 대화를 불러일으켰고, 결국 유튜브 영상으로 제작했을 때도 좋은 성과를 냈죠.

실천 예시:

  •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 릴스로 간단히 아이디어를 시험해보기

  • 레딧, 디스코드 등 커뮤니티에서 대화되는 주제를 관찰하기

  • 지인에게 설명해보고 “와, 그거 재밌다”라는 반응이 나오는지 확인하기

실제로 Colin은 레딧 커뮤니티에서 “요리 채널의 인기가 줄어드는 이유”라는 글을 보고, 그 주제를 영상 아이디어로 발전시켰습니다.


7. 제작·업로드·반복

마지막은 당연히 꾸준히 만들고 업로드하는 것입니다.

  • 반드시 제목·썸네일·스크립트를 문서로 정리하세요.

  • 영상의 첫 7초, 첫 30초가 가장 중요합니다. 시청자의 이탈 여부를 결정하니까요.

  • “완벽”을 추구하지 말고 85% 완성도에서 업로드하세요. 나머지 15%는 다음 영상에서 개선하면 됩니다.

또한 초기에는 짧은 쇼츠 영상으로 시작해, 이후 장편 영상으로 확장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Colin & Samir는 “쇼츠를 먼저 올리고, 같은 주제를 다룬 롱폼 영상을 올렸을 때 성과가 더 좋았다”고 밝혔습니다.


마무리: 유튜브는 마라톤이다

Colin & Samir가 강조하는 메시지는 단순합니다.

“좋은 영상을 꾸준히 만들면, 네트워크와 기회는 따라온다.”

실제로 이들은 처음 6년 동안은 오직 영상 제작에만 몰두했습니다. 그 결과, 크리에이터와 브랜드가 먼저 연락해오기 시작했고, 자연스럽게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기회가 생겼습니다.

유튜브는 단기간의 승부가 아니라 2년, 5년을 바라봐야 하는 장기 레이스입니다. 크리에이터라면 이 7단계를 차근차근 적용해, 꾸준히 성장하는 채널을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크리에이터 비즈니스 솔루션 CTEE 콘텐츠팀에서 작성하였습니다.

원문 : 링크

Share article

CTEE 콘텐츠팀에서 운영하는 blog입니다.